TypeScript에서의 {} vs Object vs object
이 글에서는 TypeScript에서 {}
, Object
, object
를 이용하여 타입을 선언했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타입
{}
으로 타입을 선언했을 경우 외형만으로는 비어있는 객체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TypeScript에서 {}
는 any non-nullish value를 의미합니다. 즉, undefined
와 null
을 제외한 모든 타입은 {}
타입에 할당 가능합니다.
// `undefined` 와 `null`은 할당 불가능
const test1: {} = undefined; // Type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
const test2: {} = null; // Type `null` is not assignable to type `{}`
// `undefined` 와 `null`을 제외한 모든 원시값 할당 가능
const test3: {} = true;
const test4: {} = 0;
const test5: {} = BigInt(0);
const test6: {} = "hello";
const test7: {} = Symbol();
// 모든 객체값 할당 가능
const test8: {} = () => {};
const test9: {} = new Date();
const test10: {} = new Set();
const test11: {} = new Map();
// ... 나머지 객체값 생략
JavaScript에는 크게 원시값과 객체값이 있습니다.. 원시값에는
undefined
,null
,boolean
,number
,bigint
,string
,symbol
타입의 값들이 포함됩니다. 객체값에는 원시값을 제외한 모든 값들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해서 TypeScript가 기본적으로 제공해 주는 유틸리티 타입인 NonNullable
은 다음과 같이 선언되어 있습니다.
type NonNullable<T> = T & {};
주어진 타입 T
와 null
, undefined
를 제외한 모든 타입의 공통 타입이므로 T
에서 undefined
와 null
이 제거된 타입이 반환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
는 직관적이지 않고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의 입장에서 봤을 때 가독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eslint에서는 {}
대신 NonNullable<unknown>
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Object
타입
Object
도 {}
로 타입을 선언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보면 됩니다. 이 경우에도 {}
와 마찬가지로 undefined
, null
을 제외한 모든 값이 할당 가능합니다.
// `undefined` 와 `null` 할당 불가능
const test1: Object = undefined; // Type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2: Object = null; // Type `null`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 `undefined` 와 `null`을 제외한 모든 원시값 할당 가능
const test3: Object = true;
const test4: Object = 0;
const test5: Object = BigInt(0);
const test6: Object = "hello";
const test7: Object = Symbol();
// 모든 객체값 할당 가능
const test8: Object = () => {};
const test9: Object = new Date();
const test10: Object = new Set();
const test11: Object = new Map();
// ... 나머지 객체값 생략
object
타입
이번에는 object
로 타입을 선언하는 경우를 알아보겠습니다. 위와는 다르게 Object
가 아닌 object
입니다.
위에서 JavaScript values는 원시값과 객체값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을 간략하게 설명했었습니다.
object
로 타입을 선언했을 경우 모든 객체값이 할당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모든 원시값 할당 불가능
const test1: object = undefined; // Type `undefined`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2: object = null; // Type `null`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3: object = true; // // Type `boolean`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4: object = 0; // Type `number`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5: object = BigInt(0); // Type `bigint`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6: object = "hello"; // Type `string`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const test7: object = Symbol(); // Type `symbol` is not assignable to type `object`.
// 모든 객체값 할당 가능
const test8: object = () => {};
const test9: object = new Date();
const test10: object = new Set();
const test11: object = new Map();
만약 object
타입이 객체값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 JavaScript 객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한다면 적합한 타입 선언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순수 JavaScript 객체"는
{ age: 20 }
와 같이 흔히 중괄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순수 JavaScript 객체"도 허용하는 함수를 만들다고 했을 때 위와 같은 사실을 모른다면 다음과 같이 타입을 선언하게 될 것입니다.
function doSomething(obj: object) {
//
}
그러면 다음과 같은 객체값을 입력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예상하지 못한 버그가 런타임에 발견될 수 있습니다.
doSomething(() => {});
doSomething(new Date());
doSomething(new Set());
doSomething(new Map());
그렇기 때문에 "순수 JavaScript 객체"만 허용하고 싶은 경우 object
를 사용하지 않고 Record
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타입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doSomething(obj: Record<string, unknown>) {
//
}
또한 비어있는 객체만 허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never
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const emptyObject: Record<string, never> = {};
결론
이렇게 해서 오늘은 {}
, Object
, object
를 이용해서 타입을 선언했을 때 어떤 것이 다른 지 알아봤습니다.
{}
타입:undefined
,null
을 제외한 모든 값이 할당 가능하다.Object
타입:{}
타입과 동일하다.object
타입: 원시값을 제외한 모든 값이 할당 가능하다.